DA 광고 매체에 대한 나의 의견
안녕하세요. 오늘은 '마케팅'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저 같은 경우, 짧은 기간이었지만 블렌디드의 브랜드마케터로 근무했던 경험이 있습니다.
정말 많은 것을 배웠는데요.
제 글을 찾아오시는 여러분도,
이 글을 지금 적고 있는 저로써도,
모두에게 득이 될 수 있는 글이 되면 좋겠습니다.
매체 별 특징을 살펴보면,
페이스북
페이스북은 주로 4050 세대 분들이 많이 이용하시고
민감한 키워드나 주제에 대해 언급하면
경고나 수정할 기회를 주는 것이 아닌, 바로 정지시켜 버리더라구요.
페이스북 DA나 영상 광고를 진행할 때는 조심해서 해야할 것 같습니다.
저희 같은 경우 지속적으로 정지먹고 있어
FB 광고를 거의 못돌렸어요. 그 이후에나 대행사 활용해서 돌렸던 것 같습니다.
1020 보다는 4050에서 좀 더 잘 먹히는 매체면서,
정지를 당하지 않는다면, 생각보다 자유롭게 DA할 수 있도록 열어놓았습니다.
GFA
GFA, 네이버 성과형 디스플레이라고 하죠.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네이버 DA 광고인데,
사용자가 많은 만큼 광고비도 비쌉니다. 광고비 대비 ROAS를 본다면
글쎄? 라고 할 정도로 전환에서는 큰 이득을 보지 못하고 있어요.
하지만,
제 경험 상, 성과가 잘 나오는 킬러 소재를 빠르게 발굴할 수 있다면,
그런 먹힐 수 있는 소구점들을 여러개 발견할 수 있다면
지금 당장이라도 GFA를 돌려볼 것 같습니다.
실시간으로 트랙킹되는 GFA의 특성 때문에
빠르게 소재들을 테스트해나갈 수 있었고 많은 소재들을 테스트했습니다.
처음에는 전환이 잘 나오지 않아 많은 고민이 있었습니다.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전환은 커녕 CTR( 클릭 당 비용 )도 거의 나오지 않더라구요.
그래서 저희는 목표를 CTR 0.5% 이상되는 소재들을 우선 모으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고
퇴사를 하기 전까지 이런 목표들은 채운 것 같아서 기분이 좋습니다.
GFA 같은 경우
워낙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다보니
광고 그룹 세팅 단에서 ALL로 두기 보다는
좀 더 세부적으로 파고들어가 세팅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주로 CTR을 목표로, GFA를 다루다보니 GFA에 대한 상식이나 이해도가 높아졌다고 생각합니다.
어떤 카피에서 반려가 나고 승인이 나는 지는 직접 해보며 깨닫게 될겁니다.
스타트업에서 많은 면접을 봤는데
대부분 스타트업은 광고비가 많이 발생하는 GFA는 꺼려하는 눈치였습니다.
GDN
구글 디스커버리 광고
페이스북 처럼 정지되지 않으면서도
GFA보다 좀 더 다양하게 테스트해볼 수 있는 매체입니다.
약간은 자극적인 내용을 입력해도
심사 통과가 되기 때문에 운용하기 쉬운 매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조심해야하는 건기식 광고.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문구나 효능을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하면 반려당하기 쉬우며
설사, 통과 되더다도 소비자들에게 과대 광고로 신고받았을 때
해명할 수 있는 껀덕지가 없습니다.
더 잘 팔리는 광고를 만들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해야 하죠.
고객이 광고를 접하고 (네이버, 카톡)플랫폼에 검색해보고, 제품이 괜찮으면 구매하는 Process.
광고 집행 후에는, 캠페인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CPC가 높은 캠페인들은 ON/OFF 를 통해 좋은 효율을 달성해야 합니다.
경험상 GDN 같은 경우, 주로 유튜브와 같이 돌릴 때 시너지 효과가 많이 났으며
retarget 대상으로 했을 때 기본적인 카피가 더 좋은 성과를 냈습니다.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fe24 분석 3편] 쇼핑몰(이커머스) 리뷰 분석_워드클라우드 (0) | 2022.12.19 |
---|---|
[cafe24 분석 2편] 쇼핑몰(이커머스) 리뷰 분석_파이썬 활용법 (0) | 2022.12.18 |
[cafe24 분석 1편] 쇼핑몰(이커머스) 리뷰 분석 (0) | 2022.12.16 |
3개월차 홍삼마케터가 이야기해주는 홍삼이야기 (0) | 2022.10.23 |
ROAS의 함정 (0) | 2022.10.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