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리포트] 마케팅 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창이에요.
오늘 마케팅 용어, 모르는 것들은 계속 서칭을 하면서 찾아었는데
오늘은 한번 정리를 해보고자 합니다.
GA4에서 보고서를 보다보면
다양한 리포트를 가져올 수 있는데요.
저는 이런 느낌의 보고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GA4에서 세션수란, 쉽게 말하면 유입수와 비슷한 개념이며
포그라운드에서 앱을 열 때 (링크를 클릭했을 때)
페이지 또는 화면을 조회하고 현재 활성화된 세션이 없을 때 세션으로 집계됩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활동이 멈춘 후 30분 뒤에 종료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참여 세션수는 무엇일까요?
참여 세션수란, 웹사이트 또는 앱에 방문한 유저가 최소 2번의 페이지 뷰 또는 최소 한 번의 전환 액션 또는 최소 10초 이상 머무른 세션의 수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DAU/MAU는 과연 어떤 지표일까요?
DAU는 일간 활성 사용자 수 , MAU는 월간 활성 사용자 수를 나타내는 것은 알았지만
DAU/MAU에 대한 건 잘 몰랐는데요.
해당 지표는 서비스의 고착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이 높을수록 서비스를 더 자주 사용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평균적으로 20%정도 되면
적당하게 유저들이 우리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활성 사용자 수는 세션을 시작하기 한 수로, 세션수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 것 같아요.
마지막, 사용자 참여도란
앱 화면이 포그라운드 상태로 있었던 시간 또는 웹페이지에 포커스가 있었던 시간을 뜻합니다.
저는 조회 기준을 페이지 위치로 설정을 해놨어요.
자사몰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배너들 혹은 자사몰에서 판매하고 있는 다양한 상품 상세 페이지나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이 얼마나 유저들을 유지시키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현재 저희는 웹 로그 분석을 따로 활용하고 있지 때문에 GA4로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Hotjar 같은 웹 로그 분석 툴을 사용하고 있지 않으시다면
저와 같이 GA4 보고서를 세팅해서 확인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
감사합니다 !
궁금한 점, 글에서 틀린 점이 있으면 주저하지 말고 댓글 달아주세요 .
'마케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광고 매체, 크리테오 이용기_1편 세팅 (0) | 2023.05.26 |
---|---|
[네트워크 광고 매체 ADN을 종료하며] (3) | 2023.05.10 |
[cafe24 분석 3편] 쇼핑몰(이커머스) 리뷰 분석_워드클라우드 (0) | 2022.12.19 |
[cafe24 분석 2편] 쇼핑몰(이커머스) 리뷰 분석_파이썬 활용법 (0) | 2022.12.18 |
[cafe24 분석 1편] 쇼핑몰(이커머스) 리뷰 분석 (0) | 2022.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