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에 대해서
M&A
기업합병 : 2개 이상의 기업이 청산 절차를 거치지 않고 규정에 의해 흡수/신설 합병으로 하나의 기업이 되는 것
기업인수 : 다른 기업의 경영권을 획득하기 위해 자산 or 주식의 전부 또는 일부를 취득하는 전략
수직적 M&A : 동일 가치 사슬 상 제품이 공급기업 관계에 있음. 시장 점유율 확대보다는 원재료의 안정적 수급을 통한 비용 감소, 통제력 증대를 목표
수평적 M&A : 동종업종의 유사기업 간 수평적 결합 -> 규모의 경제를 통한 생산의 감소, 생산설비 감소, 중복투자 배제, R&D 비용 절감 , 시장점유율 확대에 따른 독과점 지위 확보
시너지 효과이론 : M&A 가 기업 간 상호 보완성에 의해 유발되는 시너지효과를 유발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고 주장.
Vab - (Va + Vb) > 0 : 시너지효과
기업 저평가 이론 : 시장에서 인수대상기업의 가치가 진정한 본질가치를 반영하지 못하고 저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M&A가 일어난다고 보는 이론
토빈 q : 인수 대상기업의 시장가치 / 기업 실물자산의 대체원가
q < 1 : 인수 대상기업 저평가 >> 공장 신설보다는 M&A
q > 1 : 인수 대상기업 고평가 >> M&A보다는 공장신설이 매력적
경영자주의 이론 : 경영자는 주주의 이익보다는 자신의 효용극대화를 위해 기업의 외향적 성장으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M&A를 추진한다는 이론으로, M&A의 동기는 주주의 부와는 관계가 없다고 본다. 즉, 이 이론은 M&A가 대리인 문제의 해결방안이 아니라 오히려 대리인문제의 결과로 해석.
대리인문제이론 : 이 이론은 경영자주의이론과 반대로 M&A가 대리인 문제를 해소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이용. 즉 인수 대상기업이 대리인 문제로 인하여 기업의 본질가치보다 저평가될 경우 외부투자자들에 의해 적대적 M&A의 위협을 받을 수 있다. 이렇나 적대적 M&A 위협은 주주들의 경영진 감독기능으 대신하게 되어 대리인 문제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반되는 관리비용인 대리인 비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M&A 절차
1) 인수대상기업 선정 방법
평판과 사회적 인지도, 관련 산업에 대한 전문성, 마케팅과 영업상의 이점, 재무적 능력과 투명성, 노조와의 양호한 관계 여부, 과거의 M&A 실적, 기업을 인수하는 기본 목적과 동기, 기술력, 인수 후 경영전략, 기타 주관적 평가, 가중치 합계/평점
2) 기업 실사 (재무 체크리스트)
회사 연혁, 매출과 구매 및 공급계약, 자산 및 부채관리, 추정 재무정보, 회계 및 정보시스템, 세무사항 등
(영업 체크리스트)
산업전망 및 성장성 분석, 주요제품의 판매전략, 구매처 판매처 등의 가치사슬, 생산방식 및 원가구조 분석, 인적자원
(법무 체크리스트)
M&A 관련 제반 법률규정, 약정사항 및 소송 관련 사항, 우발채무의 실현가능성, 지적재산권 분쟁가능성, 환경관련사항 검토
M&A NPV
NPV = {Vab - (Va + Vb)} - (UPb - MPb)
합병 가액 = (최근 1개월 평균종가 + 최근 1주일 평균종가 +최근일 종가 )/3 * (1+-x%)
상장법인 = (최근2개월 평균종가 + 최근 1개월 평균종가 + 최근1주일 종가) / 3
비상장법인 = (자산가치 * 1.0 + 수익가치 * 1.5) / 2.5
'공부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 산업혁명과 창업 기업의 특징에 대해 (0) | 2021.12.10 |
---|---|
기업분할에 대해서 (0) | 2021.12.07 |
펀드에 대해서 (3) (Feat. PEF 투자 절차) (0) | 2021.12.04 |
펀드에 대해서 (2) (Feat. 부실채권펀드) (0) | 2021.12.04 |
펀드에 대해서 (1) (Feat. 메자닌펀드) (0) | 2021.12.02 |
댓글